온누리상품권 vs 지역사랑상품권, 뭐가 더 유용할까?

지역 소비 활성화와 전통시장 보호를 위해 많이 사용되는 두 상품권, 온누리상품권과 지역사랑상품권. 둘은 목적, 사용처, 할인율 등에서 차이가 있으며, 여러분의 소비 패턴에 따라 더 유리한 쪽이 달라집니다.
이 글에서는 두 상품권을 비교하고, 최근 지역사랑상품권의 할인율 확대와 함께 사용방법까지 자세히 정리해드릴게요.

상품권 기본 비교

항목온누리상품권지역사랑상품권
발행 목적전통시장 및 상점가 활성화지자체 내 지역 소비 촉진
주요 사용처전통시장, 상점가 가맹점지자체 내 마트, 식당, 미용실 등 가맹점
사용 가능 지역전국 전통시장 가맹점해당 지자체 내 한정
형태지류, 카드형, 모바일형지류, 카드/모바일형 (지자체별 상이)
구매 한도월 최대 100만원 (시기별 변동)지자체별 50만~100만원 이상
소득공제최대 30%최대 30%
유효기간지류 기준 5년지자체별 상이

📌 사용방법 안내

온누리상품권 사용방법

  • 지류형: 전통시장 가맹점에서 현금처럼 사용 (거스름돈 일부 가능)
  • 카드형/모바일형: 전통시장 내 단말기 가맹점에서 사용 가능 (체크카드처럼 결제)
  • 온누리상품권 사용처는 전통시장 가맹점 중심이며, 앱/웹에서 가맹점 확인 가능

지역사랑상품권 사용방법

  • 지류형: 종이 상품권은 지역 내 지정 가맹점에서 현금처럼 사용
  • 모바일형: 지역화폐 앱(예: 지역사랑상품권 앱, 체크페이 등)에서 충전 후 QR 결제
  • 카드형: 지역사랑카드로 등록해 신용/체크카드처럼 결제 (지역 내 가맹점에서만 사용 가능)
  • 가맹점은 각 지자체 홈페이지나 앱을 통해 확인 가능

최근 지역사랑상품권 할인율 변화 & 지역별 적용 사례

2025년 9월부터, 지역사랑상품권의 할인율이 기존 5~10%에서 대부분 7~15%로 상향되었습니다. 특별재난 지역 또는 인구감소지역 등은 최대 20%까지 할인율 적용 가능하도록 확대되었어요.

지역일반 지역 할인율특수 지역 할인율
전라북도 (전주·군산·익산 등)약 13%
전북 인구감소지역 (10개 시·군)15%
수도권/비수도권 지자체7~15%
특별재난/농산어촌 인구감소 복합 지역최대 20%

어떤 상황에서 어떤 상품권이 더 유리한가?

  • 온누리상품권 유리한 경우
    전통시장을 자주 이용하거나 선물용으로 사용하고 싶을 때
  • 지역사랑상품권 유리한 경우
    카페, 음식점, 병원 등 다양한 곳에서 할인받고 싶은 경우

결론

선택 기준온누리상품권지역사랑상품권
사용처 중심전통시장에 특화됨지자체 내 대부분 가맹점 사용 가능
할인 혜택기본 5~10% 할인현재는 최대 20%까지 확대
사용 편의성지류 중심, 일부 카드형 사용 가능앱/카드/모바일 결제 가능 (지역별 다름)

✅ 팁

  • 사용 전 가맹점 여부를 꼭 확인하세요!
  • 할인율은 지자체마다 다르니 앱 또는 홈페이지에서 확인하세요.
  • 지류형은 분실에 주의, 모바일형은 충전 잔액 관리에 신경 쓰면 더 효율적입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