핵심: 2년에 한 번 일반검진 + (여성) 자궁경부암검사 + (20~34세) 정신건강검사가 기본입니다. 남성은 24세부터 4년마다 지질(콜레스테롤) 검사까지 챙기면 끝!

① 올해(2025) 대상·기간·신청

대상

  • 만 20세 이상: 지역·직장가입자, 피부양자
  • 의료급여: 19~64세 수급자
  • 주기: 비사무직 직장인은 매년, 그 외는 2년마다

기간·신청

  • 검진 기간: 매년 1.1 ~ 12.31
  • 확진검사: 다음 해 1.31까지(항목별 상이)
  • 전년도 미수검자: 공단 신청 시 추가등록 가능
  • 예약: 공단 앱/홈페이지 대상 조회 → 병원 전화예약 (신분증 지참)

② 20·30대 필수 체크리스트

구분 내용/주기
A. 일반건강검진 2년 1회: 문진·진찰, 신체계측, 혈압, 시력·청력, 혈액(혈색소·공복혈당·신장기능 등), 소변, 흉부 X-ray, 구강검진
B. 정신건강(우울) 20~34세 주기적 선별 시행. 시행 연도에 맞춰 안내받은 연령에 참여
C. 여성: 자궁경부암검사 만 20세 이상 2년마다(Pap 세포검사). 20·30대 여성 필수
D. 남성: 이상지질혈증 만 24세 이상 4년마다 총콜레스테롤/HDL/LDL/중성지방 등

※ 암검진 본인부담은 보통 10%(대장 분변잠혈 무료). 항목·대상 여부는 예약 시 병원에서 최종 확인하세요.

 

선택/추가 권장 (개인 상황 따라)

  • 위내시경: 국가 위암검진은 40세부터이나, 증상·가족력·H. pylori 과거력 있으면 자비로 고려
  • 지질검사(여성 20·30대): 가족력/비만/흡연/피임약 복용 등 위험요인 시 자비로 추가
  • B·C형 간염 선별: 가족력/고위험군이면 항체검사 후 접종·치료 연계
  • HPV 백신: 지자체 보조 여부 확인, 20대는 자비 접종도 검토
검사는 ‘불필요한 과잉’보다 ‘개인 위험도 기반 선택’이 효율적입니다. 가족력·흡연·체중·복용약을 기준으로 추가 항목을 정하세요.

④ 나이대별 ‘이번 해 받을 것’ 캘린더

만 20~23세 (여·남)

  • 일반검진(2년 1회)
  • 정신건강 선별(해당 연령 시행 해)
  • 여성 자궁경부암검사(2년)

만 24~29세 (남)

  • 위와 동일 + 지질검사 (24, 28세 등 4년 주기)

만 25~39세 (여)

  • 일반검진, 정신건강(해당 연령 시행 해)
  • 자궁경부암검사 2년
  • 지질검사는 40세부터 국가기준이나, 위험요인 시 자비로 고려

꿀팁

  • 연말 혼잡 피하려면 상반기 또는 9~10월 예약
  • 전년도 미수검자는 공단 신청으로 추가등록 가능

⑤ 자주 묻는 질문 (FAQ · 답변 포함)

연말에 정말 많이 몰리나요?

네. 검진은 12월 31일에 마감(확진검사는 다수 항목이 다음 해 1월 31일까지)되기 때문에 12월에는 예약·대기시간이 크게 늘어납니다.

  • 추천 시기: 상반기 또는 9~10월
  • 추천 시간: 평일 오전(금·월, 점심시간 직전은 혼잡)
  • 팁: 전년도 미수검자는 공단에 추가등록 요청 후 조기 예약
2025년 기본 대상은?

20세 이상 지역·직장가입자 및 피부양자, 19~64세 의료급여 수급자가 기본 대상입니다.

  • 주기: 비사무직 직장인 매년 / 그 외 격년
  • 조회 방법: 국민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·앱에서 본인 인증 후 검진대상 조회
  • 준비물: 신분증,(필요시) 공복 8시간 이상
여성 20·30대는 무엇이 필수인가요?

필수 세트: 2년마다 일반건강검진 + 자궁경부암 세포검사(Pap). 또한 20~34세는 주기적 정신건강(우울) 선별에 해당됩니다.

  • 성생활 시작 연령이 이르거나 HPV 노출 위험이 높으면 의사 상담 후 추가 검사를 고려
  • 가족력·증상 있으면 위·갑상선·간 등 선택검사는 자비로 진행 가능
비용은 얼마나 드나요?
  • 일반건강검진: 공단 부담(본인부담 없음)
  • 국가암검진: 보통 본인부담 10% / 대장암 분변잠혈은 본인부담 0%
  • 선택·추가검사: 대상 외 항목은 자비 부담(병원별 상이)

※ 실제 금액은 병원·항목·지역에 따라 다르므로 예약 시 확인하세요.